정부가 전기차 보급이 이제 어느 정도 궤도에 올랐다는 판단하에 예산 지원을 줄이기로 했다.
다만, 전기차 충전소 등 전기차 인프라 구축 예산은 늘린다고 한다.
보급을 많이 했으니 보급 못지않게 인프라를 구축해야 유지와 수요가 더 늘어가기 때문이다.
30일 환경부에 따르면 내년 전기차에 대한 보조금을 현행
전기승용차 500만원에서 400만 원으로 100만 원 줄어든다.
전기화물차 1400만원에서 1100만 원으로 300만 원 줄어든다.
전기차 보조금은 국고 보조금과 지자체 보조금으로 나뉘는데 지자체 보조금은 내년 초(보통 2월) 발표될 예정이다.
국고 보조금 이후 발표되는 지방자치단체 보조금도 감소할 예정이다.
보조금이 깎이기 전에 올해내에 차량을 판매하려는 경쟁이 치열해지고 있는데
업체는 가격이 상대적으로 저렴한 리튬인산철(LFP)배터리를 탑재한 중저가 전기차 라인업을 늘릴 계획이다.
내년 전기차 시장에서는 가격 인하 경쟁이 더 치열해질 전망이다.
현재 정부가 설정한 전기차 보조금을 100% 받을 수 있는 기준은 승용 기준 5700만 원이다.
전기차 가격이 5700만 원 이하여야 보조금을 100% 받을 수 있다.
그래서 완성차 업체 대부분이 이 기준 이하로 가격을 책정한다. 그래야 소비자들이 더 저렴하게 전기차를 구매할 수 있기 때문인데 업계에서는 5500만 원 등으로 기준이 하향 조정될 것으로 예측하고 있다.
전기차 보급 못지않게 인프라를 구축하는 것도 중요하기 때문에
전기차 충전소 47% 늘린다.
환경부는 내년 전기차 충전 구축지원에 올해보다 44.3%(1340억) 늘어난 4365억을 투입하기로 했다.
충전기 개수도 점차 늘어나고 충전기 설치예산 중에서도 급속충전기(2325억 원)가 예산 편성 비중이 가장 높다.
반면, 완속충전기 예산은 740억으로 올해 1200억 원보다 크게 감소했다.
대신 아파트 등 공동주택 지하주차장을 중심으로 화재를 우려해 충전기 설치를 꺼리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화재 예방 완속충전기 지원이 신설되었다.
전기차 구입을 계획하고 계신 분들이라면
올해가 가기 전에 보조금이 줄어들기 전에 구입을 서두르는 것도 좋을듯하다.
'일반상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산모&신생아 건강관리 지원사업.지원대상.선정기준.신청방법 (0) | 2023.09.24 |
---|---|
육아휴직제도 사용안내서.신청방법.요건.절차 (0) | 2023.09.19 |
2024년 새해부터 달라지는 부모급여. 신청방법.중복수령.예시.Q&A (0) | 2023.09.07 |
2024년 청탁금지법. 오늘부터 달라지는 내용 (0) | 2023.09.04 |
첫만남이용권 신청방법 및 지금방법. 2024년 개편된 첫만남이용권 달라진점. (2) | 2023.09.0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