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린 시절의 구강건강 관리는 일생을 통해 좋은 구강건강을 유지하는 데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한다. 구강조직의 선천적인 기형 및 치아우식증, 치주질환, 일부 부정교합 등의 후천적 질환도 어린 시절에 발견되기 때문이다.
정의
소아치과는 악구강계의 여러 기관이 발육을 개시하는 태생기 부터 무치기, 유치열기, 혼합치열기, 영구치열기 라는 발육과정을 거쳐 제3대구치(사랑니)를 제외한 모든 영구치의 치근 발육이 완료되고, 교합이 완성되는 청소년기까지를 대상연령으로 하며, 치의학의 일반적인 분야는 물론 병원치과학, 장애인치과학, 선천성 및 유전성 구강질환 등의 특수분야의 치료까지도 포함하는 광범위한 치의학의 한 분야이다.
목적
발육중인 악구강계의 정상적인 발육을 도모하고, 치아우식 등의 구강 질환을 조기에 발견하여 이들 질환의 치료와 예방을 실시하면서 건전한 영구치열이 완성될 때까지 관리하는 것으로, 최종적으로는 영구치열에 의한 건전한 구강기능의 완성을 도모함으로써 소아의 전신적 발육과 건강에 기여하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고, 평생 좋은 구강건강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치과에 대한 첫 경험을 할 수 있는 첫 내원 시기가 매우 중요하다. 일반적으로 만 1세경에 치과에 내원하여 정기검진에 의한 치과적 문제의 조기발견 및 조기치료가 필요한데, 이때 치과에 대한 좋은 인상을 심어 줌으로써 성장하면서도 치과에 대한 공포감을 갖지 않고 친근히 대할수 있도록 해야 한다.
유치의 기능
유치열 : 젖니라고 부르고 상·하악 각각 10개씩 20개의 치아로 구성된다.
위치와 형태에 따라 유중절치, 유측절치, 유견치, 제1유구치, 제2유구치로 구분되며, 각 악궁에는 4개의 유절치, 2개의 유견치, 4개의 유구치가 있다.
- 전신발육에 중요한 역할 : 영구치와 마찬가지로 소화기관의 제일선에 위치한 주된 저작기관으로서 성정과정에 있는 어린이에게 중요.
- 구강영역의 발육에 지속적인 자극 제공 : 저작운동을 통해 악안면을 포함한 여러 영역에 자극 제공.
- 발음기관 : 출생 후 언어를 배워가는 과정에서 중요한 발음기관 하나로 작용.
- 안면의 심미를 구상하는 중요한 요소 : 유전치가 심한 우식에 이환되거나 조기 탈락된 어린이는 보기에도 흉할뿐 아니라, 어린이의 사회성, 적극성등의 성격형성에도 영향을 미친다.
- 건전한 영구치열의 완성을 위한 시간적, 공간적 조정 역할을 담당 : 유치열이 온전히 보전되지 못한 어린이는 영구치열의 형성과정에 많은 변이와 장애가 나타난다. 따라서 유치가 조기에 상실되거나 치아우식증이 생기면 상실된 공간을 유지하기위한 각종 처치가 필요하다.
'치과상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치아의 유전적, 전신적, 외상 등의 발육장애. (1) | 2023.10.16 |
---|---|
소아치열 시기에 따른 구강조직의 특징 (1) | 2023.10.15 |
치석제거술과 치근활택술의 차이, 방법 (0) | 2023.08.01 |
착색의 분류, 외인성 착색과 내인성 변색 (0) | 2023.07.31 |
치아의 부착물 중의 경성 부착물, 치석 (0) | 2023.07.3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