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1. 치석의 구성 성분
치석의 구성 성분은 무기질(65~85%), 유기질(6~15%) 및 수분(6~20%)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그 비율은 나이, 부착물의 정도 및 위치에 따라서 다양하다. 치석의 구성 물질은 무기물이 주 성분이다. 치석의 무기물의 2/3가 결정체이며 주로 인회석이고 가장 많은 결정체로서는 수산화인회석이다. 이것은 다른 석회화된 치아나 뼈에서 나타나는 결정체 구조와 같다. 치석에 함유된 유기물의 구성은 세균, 탈락세포, 백혈구, 그리고 타액 중의 mucin 등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유기물의 기질에는 콜레스테롤, 단백질, 그리고 지방산 등을 포함한다. 주로 미생물에는 사상균이 많으며 처음 5일 동안 초기 치석에 간균과 구균이 발견된다. 치석 내의 유기물은 대부분 생활력이 없으나 치석 표면에 있는 치면세균막은 생존할 수 있는 유기물을 포함한다.
2. 치석의 형성
치석은 유기물 속으로 무기물이 침착되어 만들어지며 치석형성은 피막형성, 치면세균막의 성숙 그리고 무기질화의 3가지 기본과정으로 형성된다.
- 피막형성 : 피막이나 각피는 타액으로부터 점액 단백질로 구성되어 있고 무세포성 물질이다. 피막의 두께나 윤곽들은 치면 위에서 다양하게 나타나며 치아를 깨끗이 닦은 후에도 수 분 이내에 다시 형성을 시작한다.
- 치면세균막의 성숙 : 미생물이 피막층에 정착한 후 구균, 간균, 사상균 형태의 미생물 군락이 형성되며 성장해서 치면세균막층을 형성한다.
- 무기질화 현상 : 치면세균막의 무기질화가 시작되면 바로 치석으로 변하고 치면세균막 성숙 후 몇 시간이내에 시작되는것으로 무기질화는 치석으로 변화함을 의미한다.
- 형성시기 : 성숙한 치면세균막의 광물질화 시기로 변화될 때의 평균 석회화 기간은 약 12일 정도이나 치석이 빠르게 형성할 때는 10일 정도, 늦으면 20일 정도이며 석회화는 24~48시간 정도에 시작한다. 형성 시간은 개인의 치면세균막 조절 방법 및 관리에 따라 다르다.
3. 분류 및 분포
- 치은연상 치석 : 치은변연 위의 임상적 치관위에 위치한다. 가장 많은 곳은 하악전치 설측 및 상악 제 1,2 대구치 협측등 타액선의 관이 개구하는 부위에 분포한다. 또 교합이 없는 치아의 치관부, 기능 및 관리가 소홀한 치아, 의치, 치아 장치물들의 표면 위에 분포한다. 치은변연을 따라 치경부에 위치하며 주로 음식물과 타액의 무기질에 의해 형성되므로 색깔은 백색, 백황색이고 단단하며 치면에서 쉽게 제거된다. 치은연상 치석은 육안으로 관찰이 가능하며 치석이 타액에 젖어 있을 때에는 압축공기로 건조시켜 볼 수 있으며 잘 보이지 않을 때에는 탐침을 사용하여 확인한다.
- 치은연하 치석 : 치은변연 하방 치주낭 안에 위치한다. 전 치아에 분포되어 있으며 인접면, 설면에 주로 침착한다. 치은연하의 염증조직이나 혈액성분에 의해 형성되므로 색깔은 어두운 갈색, 흑색을 띄며 치아표면에 단단히 부착되어 있다. 치은연하 치석은 육안으로 관찰하기 힘들기 때문에 치주낭의 치석을 발견하기 위해 압축공기를 이용하며 위치와 범위를 결정하기 위해서는 탐침을 사용하여 촉각을 통해 관찰할 수 있다.
4. 치석부착 형태에 따른 분류
- 단단한 덩어리형 치석 : 큰 덩어리로 불규칙한 형태로 단단하게 형성되며 색깔은 흰색에서 상아색이다. 음료수나 담배의 니코틴 등 색소와 함께 섞여서 나타나며 완전히 석회화되지 않은 상태로 쉽게 제거된다. 주로 치은연상 치석으로 하나 또는 여러 개의 치아에 함께 나타난다.
- 베니어형 치석 : 얇은 베니어 형태로 나타나며 스켈링이나 치은활택술 후에 가장 흔히 남아 있을 수 있는 치석으로 치은연상 혹은 치은연하에 나타난다. 치석제거 시작은 작업각도로 인해 형성된다.
- 선반형 치석 : 치은연하에 ring 형태로 나타나며 색깔은 연한 갈색부터 진녹색이다. 치근면에 부분적 또는 전체적으로 나타난다.
- 과립형 치석 : 치은연상 또는 치은연하에 작은 과립형태의 조각이나 점상으로 나타나며 눈에 잘 띄지 않는다.
5. 치석 발견 방법
- 치은연상 치석 : 치은연상의 치석 탐지는 치면을 건조시킨 후 충분한 조명과 공기, 치경을 이용하여 눈으로 직접 확인해 보는 것을 말한다. 치석은 황백색으로 보이므로 자연치아색과 비교할 수 있다. 깨끗한 법랑질 표면은 매끈하며 탐침이 잘 미끄러지고 느껴지며 소리가 없다.
- 치은연하 치석 : 치은연하 치석이 있는 부위의 치은조직의 변화로서 알 수 있다. 치은연이 확장되어 치아외부와 분리되기 쉽고 뭉툭하여 경계가 뚜렷하지 못하거나 느슨하며 탄력이 없고 청적색을 띤 치은조직으로 보인다. 검은색을 띤 치은연하 치석은 비교적 반투명한 치은연 아래에서는 치아 외부에서 검은색을 나타내기도 한다. 인접면에 있는 큰 침착물은 X-ray 상에서 발견할 수 있다. 침착물의 정확한 위치나 크기를 알기 위해 탐침을 이용한다.
반응형
'치과상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치석제거술과 치근활택술의 차이, 방법 (0) | 2023.08.01 |
---|---|
착색의 분류, 외인성 착색과 내인성 변색 (0) | 2023.07.31 |
치아의 부착물 중에 연성 부착물의 종류 (5) | 2023.07.27 |
치아에 나타나는 치은염과 치주염, 잇몸질환 (0) | 2023.07.26 |
치면세마,스켈링,치주질환의 양상 (0) | 2023.07.26 |